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ily37

미국 0.75% 금리 인상 (기준 금리 3.25%) 한은 추가 빅스텝 단행! 전 세계가 관심을 갖는 미국 금리가 21일 또 한 번 0.75% 인상되었습니다. 3번 연속해서 자이언트 스텝을 발표한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발표로 S&P500과 나스닥이 일시적으로 급락하였습니다. 미국 연준 금리인상 발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FED가 현지시간 21일 기준금리를 또 한 번 자이언트 스텝을 강행하였습니다. 미연준은 연간 80%가 넘는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금리가 한달만에 재역전되면서 한국경제가 심하게 타격이 우려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3.00~3.25% 인상되어 2008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미연준이 향후에도 금리 인상에 더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미연준 의장인 제롬파웰은 인플레이션 목표.. 2022. 9. 23.
서울시 깡통전세 피해자 이자 지원, 법률 상담 진행! 최근 전세사기로 피해를 입으신 분들을 종종 뉴스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이에 정부와 서울시에서 '깡통전세' 피해에 대한 현황조사와 임차 보증금 이자지원 연장, 법률 상담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깡통전세 피해자 지원 2022년 9월 중 정부에서 설치 예정인 ‘전세사기피해지원센터’와 서울시 '전월세 보증금지원센터'의 협업체계를 통해 지속적인 협업 및 정보 공유를 통해 깡통전세 실제 피해사례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축적합니다. 분야별 대책 1. 깡통전세 피해의 실태 파악을 위한 현황조사 2.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연장 등 금융지원 확대 3. 법적 조치가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법률 상담과 매뉴얼 제공 특히나 서울시에서는 신혼부부·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 신청자가 깡통전세로 인해 보증금 회수.. 2022. 9. 17.
종합부동산세 개편안 _ 1세대 1주택자 세제혜택 정리 정부의 종합부동산세 개편안 내용 중에서 많은 분들이 관심 있어 하는 1세대 1 주택자의 세부담 경감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세대 1 주택자 종부세 개편안 기획재정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1세대 1주택의 기존 혜택이 유지되고 다양한 추가 경감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우선 1차적으로 다주택자 종부세 중과제도를 폐지하고 주택수에 따른 세부담의 불합리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합니다. ○ 기존 혜택 고령자·장기보유자 세액공제 (최대 80%) 부부 공동명의자 특례 등 기존 1세대 1 주택자 혜택 유지 ○ 추가 경감 혜택 1세대 1 주택자 종부세 부담은 다주택자에 비해 낮습니다. 당연한 소리입니다!! 세율 인하 : 0.6 ~3.0% → 0.5 ~ 2.7% 기본공제금액 인상 11억 원 → 12.. 2022. 8. 31.
청년 '1억 통장' 공약 파기 _ 청년도약계좌 축소 내용 윤정부가 대선 때 공약했던 1억 통장인 청년 도약 계좌의 지원을 축소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현금지원성 공약을 취소했는데요. 정말이지 아주 빠르게 공약 취소하는 정부는 이번이 처음인 듯합니다. 청년 '1억 통장' 변경 내용 정리 기존 청년도약계좌 만 19 ~ 32세 근로, 사업소득으로 일하는 청년이 월 70만 원 한도로 저축하면, 연소득에 따라 정부가 10만~40만원의 장려금 지원해 '1억 원'을 만들 수 있는 상품이다.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10년간 5,754만 원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8월 30일 '2023회계 연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 발표에 의하면 윤정부의 위와 같은 공약이 대폭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뀐 청년 도약 계좌 아직 시행도 하지 않아 바뀌었다.. 2022. 8. 30.
반응형
LIST